천간과 지지 천간의 종류, 병존, 성격, 분석
사주명리학에는 하늘과 기둥을 상징하는 천간天干 10자와, 땅과 가지를 상징하는 지지地支 12자가 있다.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를 천간 네 글자와 지지 네 글자로 나타낸 것이 사주팔자이다. 천간과 지지를 합쳐서 간지干支라고 한다. 대부분의 동양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주명리학에서는 천간과 지지를 좋은 것 나쁜 것으로 나누어 생각하지 않는다. 두 가지 다 필요한 존재이다. 이것은 사주에 음과 양이 모두 필요하고, 생과 극 작용이 모두 필요한 것과 같은 이치다. 어느 것은 좋고 어느 것은 나쁘고, 또 어느 것은 중요한데 어느 것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다가는 사주 분석에서 오류를 초래하기 쉽다.
천간과 지지의 정확한 기원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것에 관해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는 중국의 서자평이 지은 연해자평이 있다. '중국 황제 시대에 치우가 나와 세상을 혼란스럽게 하니 황제가 백성의 고통을 알고 탁록이란 들에서 치우와 싸워 치우를 죽였다. 이때 치우의 피가 백 리를 덮어 나라를 다스리기 어렵게 되자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이에 하늘에서 천간 10자와 지지 12자를 내려보냈다. 황제가 10자를 둥글게 펴서 하늘을 상징하고, 지지 12자를 모나게 펴서 땅을 상징하여 그 빛을 널리 퍼지게 하니 나라가 평화롭게 되었다. 그 후에 대요大撓가 나와 지지 12자를 합하여 육십갑자를 만들었다'
이 내용이 역사적으로 근거가 있는지는 알기가 어렵다. 이렇듯 역사적인 자료가 부족한 상태에서 간지의 유래를 찾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간지를 분석하고 의미를 확인하는 것은 별개의 일이다. 간지의 창조 원리를 찾느라 시간을 허비하기보다는, 천간과 지지의 분석을 통해서 사람들이 보다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1. 천간의 의미
천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의 10가지로 이루어져 있고, 십간十干이라고도 한다. 또한 하늘을 상징한다고 해서 천원天元이라고도 한다. 갑, 병, 무, 경, 임은 양 천간이고, 을, 정, 기, 신, 계는 음 천간이다. 각각의 천간 10자는 사주에서 사람의 건강, 성격, 적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2. 천간의 종류와 성격
갑甲 - 크고 곧은 나무를 상징한다. 뻗어 나가고 싶어하고, 명예 지향적이며 인자하다.
을乙 - 작은 나무, 화초, 덩굴식물을 상징한다. 부드럽고 인자하며, 자신을 낮추고 굽힐 줄 안다.
병丙 - 태양, 용광로, 큰 불을 상징한다. 밝고 명랑하며, 적극적이고 활동적이다.
정丁 - 형광등이나 촛불처럼 작은 불을 상징한다. 은근한 끈기와 인내심이 있고, 밝고 명랑하다.
무戊 - 넓은 대지, 들판 등 넓은 땅을 상징한다. 은근히 고집이 있고, 자기중심적인 면이 있다.
기己 - 정원, 화분 등 작은 땅을 상징한다. 소극적이고 안정적이며, 환경 적응력이 빠르고 자기를 잘 지킨다.
경庚 - 바위산, 기차, 비행기 등 큰 쇳덩이나 바위를 상징한다. 적극적이고 의지가 강하며, 자신을 잘 드러낸다.
신辛 - 보석, 칼과 같은 작은 금속이나 자갈 등을 상징한다. 예민하고 섬세하며 자기주장이 강하다.
임壬 - 강물, 바닷물과 같은 큰 물을 상징한다. 자기를 보여주고 싶어하며 총명하다.
계癸 - 이슬, 안개 등과 같은 작은 물을 상징한다. 온화하고 섬세하며, 다정하고 여린 심성이다.
3. 천간의 분석
천간은 하늘 천天 기둥 간干으로서 '위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지와 비교하여 하늘인 천간이 더 좋거나 크다고 보면 안 되고, 말 그대로 위에 있는 것을 상징한다고 보면 된다. 각각의 천간을 음양과 오행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갑목甲木
양목이고, 지지의 인목과 같다. 크고 곧게 뻗은 나무, 말라죽은 나무이다. 갑목은 뾰족한 글자로서 '오미신신'과 더불어 현침살이라고 하는데, 뾰족한 것을 다루는 직업이 좋다. 갑목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는 것을 '갑갑병존'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부모대나 본인대에 한 번은 큰 어려움이 있거나 고향을 일찍 떠나고 부모와 생사 이별을 한다.
을목乙木
음목이고, 지지의 묘목과 같다. 습목이고 생목이다. 작은 나무이고, 풀과 같은 초목이고 새싹이다. 을목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는 것을 '을을병존'이라고 하다. 이 경우에는 인덕이 부족하고 주변에 사람이 있어도 외로움을 느낀다. 천간에 을목이 3개 있으면 '복덕수기'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인덕이 있고 명예를 얻으며, 관직으로 진출하면 좋다.
병화丙火
양화이고, 지지의 사화와 같다. 태양, 용광로, 화산, 화재와 같은 큰 불이다. 병화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으면 '병병병존'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활동 범위가 도道 지역인 역마로서 활동적이고 움직임이 많은 직업이 좋다. 병화 일간인 사람이나 사주 내에 병화가 많은 사람은 얼굴이 둥글고 미남 미녀가 많다.
정화丁火
음화이고, 지지의 오화와 같다. 촛불, 화롯불, 모닥불, 형광등과 같은 작은 불이다. 정화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으면 '정정병존'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에는 인덕이 부족하고 주변에 사람이 있어도 외로움을 느낀다. 정화 일간인 사람이나 사주에 정화가 많은 사람은 얼굴이 갸름하고 미남미녀가 많다.
무토戊土
양토이고, 지지의 진, 술과 같다. 벌판, 들판, 밭, 논 등과 같은 넓은 땅이다. 무토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으면 '무무병존'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에는 해외 역마로서 활동적이고 해외를 왕래하는 직업이 좋으며, 해외를 반드시 왕래한다. 무토 일간인 사람은 대개 넓은 정원, 넓은 거실을 좋아하고 좁은 공간이나 복잡한 액세서리는 싫어한다.
기토己土
음토이고, 지지의 축, 미와 같다. 화분의 흙, 정원의 흙 등과 같은 좁은 땅이다. 기토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으면 '기기병존'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에는 집 근처 역마로서 시市지역에서 활동하는 직업이나 정적인 직업이 좋다. 기토 일간인 사람은 대개 분재나 작은 정원, 작은 액세서리 등을 좋아한다.
경금庚金
양금이고, 지지의 신금과 같다. 무쇳덩어리, 금광, 바위산, 유람선, 유조선, 기차, 비행기 같은 큰 바위나 큰 쇳덩이다. 경금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으면 '경경병존'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에는 매우 넓은 역마로서 활동범위가 전국적이다. '경경병존'인데 무토가 있으면 '무무병존'과 같다.
신금辛金
음금이고, 지지의 유금과 같다. 바늘, 시계, 칼, 보석 등과 같은 작은 금속이나 작은 돌덩이다. 신금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으면 '신신병존'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에는 어려운 일을 반드시 겪게 된다. 신금은 '갑오미신'과 함께 현침살이라고 부르고, 뾰족한 것을 가지고 하는 직업이 좋다.
임수壬水
양수이고, 지지의 해수와 같다. 가물, 바닷물, 호수 등과 같은 큰 물이나 맑은 물이다. 임수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으면 '임임병존'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에는 도화이고 인기를 얻는 연예, 예술, 문화, 방송 관련 직업이 좋다. 경금과 임수가 붙어 있으면 '금수쌍청'이라고 하는데, 총명하고 동양학이나 종교학에 관심이 많다.
계수癸水
음수이고, 지지의 자수와 같다. 안개, 눈물, 그릇에 담긴 물 등 작은 물이다. 계수 두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으면 '계계병존'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에는 도화로서 인기를 얻는 연예, 예술, 문화, 방송 관련 직업이 좋다. 신금과 계수가 함께 있으면 금수쌍청이라고 하며, 총명하고 동양학이나 종교학에 관심이 많다.
4. 천간 병존의 종류와 의미
甲甲 - 부모대 또는 본인대에 파가 또는 조실부모한다.
乙乙 - 인덕이 없고 외로우며 고독하다.
丙丙 - 광역 역마, 일찍 고향을 떠난다.
丁丁 - 인덕이 없다. 외롭고 고독하다.
戊戊 - 해외 역마로 유학, 무역, 외교, 이민 등이 좋다.
己己 - 지역 역마, 작은 역마. 한 곳에 정착한다.
庚庚 - 국내 역마로 활동적인 직업이 좋다.
辛辛 - 어려운 일이나 비참한 일을 겪는다.
壬壬 - 도화살 또는 인기살이 있어서 인기를 얻는 직업이 좋다.
癸癸 - 도화살 또는 인기살이 있어서 인기를 얻는 직업이 좋다.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팔자 의의, 세우기 & 연주 (0) | 2021.02.17 |
---|---|
천간과 지지 - 지지의 종류, 성격, 분석, 병존 (0) | 2021.02.16 |
상생과 상극의 반작용, 오행의 비화, 숫자 (0) | 2021.02.08 |
오행의 상생과 상극 (0) | 2021.02.04 |
역학 점학의 종류 정리 (0)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