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

사주팔자 월주, 일주, 시주

by 지옥에서온도토리 2021. 2. 19.

사주팔자 월주, 일주, 시주

 

월주

월주는 사주의 주인공이 태어난 달을 말한다. 월주를 세울 때는 양력 1일이나 음력 1일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12 절기의 접입일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새해가 시작되는 입춘부터 1달 후인 경칩 사이는 인월이 되고, 경칩부터 청명 사이는 묘월이 된다. 태어난 달의 천간은 월간이라고 하고, 태어난 달의 지지는 월지라고 한다. 월주는 연주를 세우고 난 후 찾는다. 만세력을 보면 연주와 월주를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연주를 통해서 월주를 찾는 방법이 있다. 자주 활용하는 방법은 아니지만 만세력을 참고하기 어려울 때 도움이 된다. 

 

월주를 세울 때 월지는 십이지지 순서를 따르므로 월간만 알면 된다. 이때 월간은 연간이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연간이 갑甲이나 기己이면 병인丙寅, 을乙이나 경庚이면 무인戊寅, 병丙이나 신辛이면 경인庚寅, 정丁이나 임壬이면 임인壬寅, 무戊나 계癸이면 갑인甲寅이 1월이다. 이 원리를 보면 천간합과 오행의 상생 작용이 바탕을 이룬다. 즉, 연간의 천간합을 생하는 양陽 오행을 월간으로 삼는 것이다.

 

  • 감기합은 토가 되는데, 토를 생하는 화 중에서 양인 병화를 천간으로 삼아 병인월이 시작되고, 정묘월, 무진월...순서로 월이 결정된다.
  • 을경합은 금이 되는데, 금을 생하는 토 중에서 양인 무토를 천간으로 삼아 무인월이 시작되고, 기묘월, 경진월...순서로 월이 결정된다.
  • 병신합은 수가 되는데, 수를 생하는 금 중에서 양인 경금을 천간으로 삼아 경인월이 시작되고, 신묘월, 임진월...순서로 월이 결정된다.
  • 정임합은 목이 되는데, 목을 생하는 수 중에서 양인 임수를 천간으로 삼아 임인월이 시작되고, 계묘월, 갑진월...순서로 월이 결정된다.
  • 무계합은 화가 되는데, 화를 생하는 목 중에서 양인 갑목을 천간으로 삼아 갑일월이 시작되고, 을묘월, 병진월...순서로 월이 결정된다.

태양력과 태음력

일상생활에서는 양력을 사용하지만 사주를 볼 때는 음력을 사용한다. 음력과 양력 모두 자연의 시간을 반영하여 만든 달력이다. 이것은 음력과 양력 모두 1년을 365일 또는 366일 정도로 정한 것에서 잘 알 수 있다. 그러나 1달의 길이를 정하는 방법에서 음력과 양력은 큰 차이가 있다. 

 

1. 태양력

보통 양력이라고 하며,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공전 주기를 기준으로 1달의 길이를 정하였다. 즉 해가 황도 위를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을 12로 나누어 그것을 1달의 길이로 정한 것이다. 태양력은 계절 변화를 잘 반영하지만, 실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 때와 작은 시간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윤일을 두어서 4년마다 2월을 29일로 조정한다. 

 

2. 태음력

보통 음력이라고 하며,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것을 기준으로 1달의 길이를 정하였다. 즉 음력에서는 계절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달의 모양이 날짜가 지나면서 초승달 -> 상현달 -> 보름달 -> 하현달 -> 그믐달로 바뀌는 것을 보고 그 주기인 약 29.53일을 1달의 길이로 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음력에서는 1달의 길이가 29일 또는 30일이 된다. 

 

  • 삭朔 : 음력 초하루. 태양, 달, 지구의 순서대로 일직선이 되었을 때.
  • 망望 : 보름. 태양, 지구, 달의 순서대로 일직선이 되었을 때.

태양력과 태음력의 차이를 인위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사람들은 윤달을 생각해냈다. 태음력에서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29.53059로, 여기에 12를 곱하면 1년이 약 354일이 되어 365일인 태양력과 약 11일 정도 차이가 생긴다. 그래서 5년에 2번의 비율로 1년을 13개월로 한다. 

 

일주

일주는 사주의 주인공이 태어난 날의 간지를 말하며, 일진이라고도 한다. 일주는 출생 연월일시를 사주로 바꿀 때 가장 간단하면서도 중요하다. 만세력을 보고 태어난 날을 찾아 그대로 기록하면 되므로 가장 간단하고, 일주 중에서도 일간이 사주의 주인공이 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 일주에서 위에 있는 천간을 일간日干이라고 하고, 밑에 있는 지지를 일지日支라고 한다. 다만 밤 11시 30분이 넘으면 다음날로 본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생일이 윤달인 사람은 일주를 어떻게 찾을까?

음력이나 양력에 상관없이 정확한 출생일을 알면 만세력으로 일주를 찾을 수 있다. 한편 생일이 윤달인 사람은 생일을 양력으로 바꾸어서 찾는다. 양력은 윤달과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시주

시주는 사주의 주인공이 태어난 시간을 천간과 지지로 나타낸 것이다. 위에 있는 천간을 시간時干이라고 하고, 밑에 있는 지지를 시지時支라고 한다. 시지는 2시간 단위로 지지의 순서대로 구분되고, 시간은 일간에 따라 정해진다. 시주를 세울 때 시지는 십이지지 순서를 따르므로 시간만 알면 된다. 시간은 일간이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그 원리를 살펴보면 천간합과 오행의 상극 작용이 바탕을 이루고 있다. 즉 일간의 천간합을 극하는 양 오행을 시간으로 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간이 갑이나 기이면 갑자, 을이나 경이면 병자, 병이나 신이면 무자, 정이나 임이면 경자, 무나 계이면 임자시로 시작한다. 

 

  • 갑기합은 토가 되는데, 토를 극하는 목 중에서 양인 갑목을 천간으로 삼아 갑자시가 시작되고, 을축시, 병인시...순서로 시가 결정된다.
  • 을경합은 금이 되는데, 금을 극하는 화 중에서 양인 병화를 천간으로 삼아 병자시가 시작되고, 정축시, 무인시...순서로 시가 결정된다.
  • 병신합은 수가 되는데, 수를 극하는 토 중에서 양인 무토를 천간으로 삼아 무자시가 시작되고, 기축시, 경인시...순서로 시가 결정된다.
  • 정임합은 목이 되는데, 목을 금하는 금 중에서 양인 경금을 천간으로 삼아 경자시가 시작되고, 신축시, 임인시...순서로 시가 결정된다. 
  • 무계합은 화가 되는데, 화를 극하는 수 중에서 양인 임수를 천간으로 삼아 임자시가 시작되고, 계축시, 갑인시...순서로 시가 결정된다.